코로나 재확산 등 불확실성 상존 여전
"10일 상원 휴정 전에 합의안 나와야"
올해 2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이 -32.9%로 통계 집계를 시작한 지난 1947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한 가운데 최근 논의되고 있는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안 도출이 지연될 경우 경기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미국에서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재확산, 경기회복세 둔화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실업수당 신규청구건수는 지난달 셋째 주 이후부터 2주 연속 증가세다. 실업수당 신규청구건수는 코로나가 본격화된 지난 3월 넷째 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15주 연속 하락했다.
미 공화당은 지난달 27일 코로나 대응을 위한 1조달러(한화 약 1200조원)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제안했다. 주요 항목에는 실업수당(1100억달러), 재난지원금(3000억달러), 기업보조(2000억달러), 주(州)정부 보조(1050억달러), 보건지출(790억달러) 등이 포함됐다.
문제는 추가 실업수당이다. 공화당은 추가 실업수당을 오는 9월까지 주당 200달러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한 가운데 민주당은 공화당 안이 취약계층 지원에 부족하다고 반발했다. 민주당은 기존의 주당 600달러를 내년 1월까지 연장할 것을 주장했다.
한은은 "상원 휴원 이전에 최종 합의안이 도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긴 하지만 양당간 합의가 9월 이후로 지연될 경우 경기 회복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상원은 오는 10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휴원 예정이다.
한편 양당이 추가 경기 부양책를 두고 줄다리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백악관은 주말까지 최종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실업보험 추가 지원, 임차인 강제 퇴거 방지 등 부양책 일부 내용을 행정명령을 통해 단독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August 07, 2020 at 02:00PM
https://ift.tt/3knppCl
한은 "美 부양책 합의 지연시 경기회복 난항" - 조선비즈
https://ift.tt/2UCn6Qy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