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June 15, 2020

북한군 “남북합의로 비무장된 지역 다시 진출…요새화하겠다” - 한겨레

jumpalitanbolot.blogspot.com
개성공단·금강산 통로 무장화할 듯
9·19 합의로 철거한 GP 복원할 수도
대남 전단살포로 맞대응도 예고
판문점의 군사분계선 표지판. 환경운동가 서재철 제공
판문점의 군사분계선 표지판. 환경운동가 서재철 제공
북한군이 “북남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된 지대들에 다시 진출”할 방침임을 내비쳤다. 북한이 얼마 전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예고대로 군사행동에 나설 뜻을 밝힌 것이어서, 남북 간 군사적 긴장 고조가 우려된다.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15일 노동신문> 등에 게재된 ‘공개보도’를 통해 “우리 군대는 당과 정부의 그 어떤 결정 지시도 신속하고 철저히 관철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총참모부는 “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와 대적관계 부서들로부터 북남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된 지대들에 군대가 다시 진출하여 전선을 요새화하며 대남 군사적 경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행동방안을 연구할 데 대한 의견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북남합의로 비무장화된 지대’를 특정하진 않았지만,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개발과 관련해 군사적 안전보장 조치가 이뤄진 지역과 9·19 군사합의로 철거된 비무장지대 지피(GP·경계초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2003년 개성공단을 착공하며 개성과 판문점 주변에 배치돼 있던 2군단 소속의 6사단, 64사단, 62포병여단을 후방 지역으로 옮겼다. 또 남한 인사들의 개성공단 방문과 금강산 관광을 위해 비무장지대(DMZ)를 관통하는 통로를 개방하며 군부대 배치를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에 설치된 지피 11곳에서도 철수했다. 당시 남북은 10곳에 대해선 상호 검증 하에 지피 시설물을 파괴해 당장 복구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북이 각각 1곳은 관광 등을 목적으로 파괴하기 않고 보존하기로 합의한 바 있어, 언제든 복원할 수 있다. 총참모부는 또 “지상전선과 서남해상의 많은 구역들을 개방하고 철저한 안전조치를 강구하여 예견되어 있는 각계각층의 우리 인민들의 대규모적인 대적삐라살포 투쟁을 적극 협조할 데 대한 의견도 접수하였다”고 밝혔다. 남한 탈북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에 맞대응하기 위해 북한 주민들이 남한을 향해 대남전단을 날릴 수 있도록 북한 쪽 접경지역을 개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총참모부는 이어 “우리는 이상과 같은 의견들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한 군사적 행동 계획들을 작성하여 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승인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3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대북전단 살포 등과 관련해 남한 정부의 태도를 비난하며 “남조선당국이 궁금해할 그다음의 우리의 계획에 대해서도 이 기회에 암시한다면 다음번 대적 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Let's block ads! (Why?)




June 16, 2020 at 07:50AM
https://ift.tt/3d08Nvm

북한군 “남북합의로 비무장된 지역 다시 진출…요새화하겠다” - 한겨레

https://ift.tt/2UCn6Qy

No comments:

Post a Comment